반응형
HTML5의 개요
- Hyper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로 월드와이드웹(World Wide Web)에서 사용하는 마크업(Markup) 언어
- 2008년에 등장하여 현재까지 웹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
- ActiveX 등의 추가적인 플러그인이 없더라도 캔버스, 멀티미디어, 위치정보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
- 웹문서 뿐만 아니라 웹 애플리케이션(대표적으로 웹게임) 또한 제작
- HTML5의 기본 구성 요소로는 요소(Elements), 태그(Tag), 속성(Attributes), 변수(Arguments) 4가지 존재
시맨틱 웹
- 기존의 HTML 문서는 단지 표현을 위한 수단이었고, 이에 여러 태그를 사용하여 구조를 정의할 수는 있었으나 이는 진정한 의미의 태그 사용이 아니라 단순한 문서 표현에 불과
- 웹리소스와 정보를 모두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도록 구조화시킨 기술이 시맨틱 웹
태그(Tag) | 설명 |
<header> | 머리말을 나타내는 태그 |
<hgroup> | 제목과 부제목을 묶는 태그 |
<nav> | 메뉴 부분을 나타내는 태그 |
<article> | 개별 컨텐츠를 나타내는 태그 |
<section> | 제목 별로 나눌 수 있는 태그 |
<aside> | 좌우측의 사이드바를 나타내는 태그 |
<footer> | 제작자의 정보나 저작권의 정보를 나타내는 태그 |
웹 표준화
- 어떤 브라우저에서든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사이트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웹 표준이 지켜져야 함
- 기존에 한 개의 브라우저(익스플로러)에서만 동작한다는 것을 알면서도 ActiveX를 사용한 이유는 스크립트 언어 만으로는 원하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기에 어렵기 때문이었고 HTML5에서의 ActiveX는 웹 표준화 방해 요소.
- HTML5의 등장으로 스크립트 만으로도 원하는 기능을 충분히 구현 가능
마크업(Markup) 언어란?
- 문서 안의 정보를 구조화시키는 언어
HTML5
- HTML의 새로운 버전
- 1999년 HTML 4.01 버전, 2000년에 XHTML이 발표되고 다시 HTML로 돌아와서 2008년에 HTML5 탄생(XHTML의 상위가 아닌 HTML 4.01의 상위 버전, XHTML 문법은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)
HTML5의 정의
- 문서 작성을 넘어서 다양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한 웹 플랫폼을 지향
- 다양한 사양이 독립적으로 존재
- 기본적인 틀은 기존의 HTML4.01과 크게 차이가 없음
- 다양한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문서 작성을 위한 몇 개의 마크업이 추가 및 삭제되고 자바스크립트 API가 동작을 담당하기 위해 추가됨
HTML5의 배경
- 최초에 팀 버너스리(Tim Berners-Lee)가 개발하였으며 NCSA에서 개발한 Mosaic 브라우저에 의해 보편화되기 시작
- IETF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에 의해 개발된 HTML 2.0 버전 1995년 11월에 발표
- 1997년에 3.2 버전, 1998년 4.0 버전 발표
- 현재까지 많은 비중으로 사용되고 있는 HTML 4.01 버전은 1999년 발표되었다가 2000년 이후에는 XML과 합쳐져서 XHTML 1.0 등장
- Apple, Mozila, Opera는 2004년에 공동으로 WHATWG(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)을 발족하여 기존의 HTML을 진화시키기 위해 노력
- W3C(World Wide Web Consortium)도 2007년부터 참여하여 HTML5를 제정하고 2008년에 초안 공개
HTML5의 기능들
기능 | 설명 |
캔버스 | 2차원 그래픽을 그리기 위한 캔버스 API 제공 |
멀티미디어 | 동영상 및 음성 제작을 위한 비디오와 오디오 API 제공 |
위치정보 | 지리적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 정보 API 제공 |
오프라인 웹 | 인터넷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정상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캐시 API 제공 |
웹 데이터베이스 | 표준 SQL을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API 제공 |
로컬 저장소 | 클라이언트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API 제공 |
웹 소켓 | 서버 측의 프로세스와 양방향 통신을 위한 API 제공 |
웹 워커 | 웹 응용을 위한 스레드 기능에 대한 API 제공 |
브라우저별 HTML5 지원 현황 확인해보기
위 사이트를 통해 현재 브라우저의 HTML5 지원 정도를 기능별로 세부적인 확인이 가능하다.
반응형